상표법은 제 2007. 1. 3. 법률 제8190호로 개정될 때 제 57조의3 규정이 신설되었고

그 부칙 제7조는 제57조의3의 개정규정은 개정규정은 2007. 7. 1. 이후 최초로 타인이 상표등록출원을 하여

 등록되는 상표에 대하여 선사용자가 동 개정규정의 요건을 갖춘 경우부터 적용한다고 정하고 있으므로, 

2007. 7. 1. 전에 출원되어 등록된 이 사건 각 등록상표(등록번호 각 생략)에 대하여는 위 규정의 적용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원심은 상표법 제57조의3에 의하여 피고인에게 위 조항 소정의

선사용권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심리한 끝에 피고인에게 위 조항 소정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러한 원심판단에는 상표법 제57조의3의 적용시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점은 있으나 결과적으로 위 규정의 적용을 배척하였으므로 판결 결과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피고인이 이 사건 각 등록상표의 출원 전 그 표장과 동일한 모양의 장식물을 창작한

선행 저작권자이므로 상표법 제53조에 비추어 상표권 침해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피고인이 이를

항소이유로 삼거나 원심이 직권으로 심판대상으로 삼은 바가 없는 것을

상고이유에서 비로소 주장하는 것으로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합니다.

 

디자인과 상표는 배타적, 선택적인 관계에 있는것이 아니므로 디자인이 될 수 있는 형상이나 모양이더라도

그것이 상표의 본질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자타상품의 출처표시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위 사용은 상표로서의 사용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대법 2000. 12. 26. 선고 98도2743 판결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보건대, 피고인이 이 사건 각 등록상표와 동일한 모양의 장식물을 제조하여

그 지정상품과 동일한 헤어밴드, 목걸이 등에 사용한 태양, 이 사건 각 등록상표의 주지성 및 피고인의 사용의도 등을

종합하여 보면, 피고인이 그와 같이 사용한 표장은 순전히 장식적으로만 사용된 것이 아니라 

상품의 출처표시를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서 상표의 사용으로 인정된다고 할 것입니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한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표적 사용에 관한 법리위법이 없기에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였습니다.

 

피고인이 A 주식회사의 등록상표와 동일한 모양의 장식물을 제조하여 그 지정상품과 동일한 상품에 

부착·사용함으로써 A 회사의 상표권을 침해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이 사용한 표장은 상품의 출처표시를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상표의 사용’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같은 취지에서 유죄를 인정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입니다.

 

 

상표법 및 디자인출원 디자인등록 상표출원 상표권보호

지식재산권 상담 문의는

변리사 변호사 에게 특허상담 및 법률자문을 받을 수 있는

종합 지식재산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허법률사무소 소담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여인재 변리사

대기업출원소송 담당팀장 출신 변리사 변리사 출신 변호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특허법률사무소 소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