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소송의 법적성질 및 행정소송 민사소송과의 관계
심결취소소송은 기본적으로 행정소소으이 일종으로 보는 것이 통설.판례의 입장이다.
심결취소소송 중 특허청장을 피고로 하는 결정계 사건은
행정소송법 제3조 제1호 소정의 항고(취소)소송이라는 데 다툼이 없으나,
특허권자 또는 이해관계인을 상대로 하는 당사자계 사건에 관하여는
결정계 사건과 마찬가지로 항고소송이라고 보는 견해와 당사자소송에 속한다고 보는
두 견해가 나뉜다.
당사자계 사건은 소송의 외양을 보면 양 당사자가 서로 대립하는
민사소송의 구조와 크게 다를 바가 없어 항고소송이라기보다는 당사자소송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나, 특허청의 결정.심결은 이른바 행정처분에 속하는 것으로
당사자계사건도 그 실질을 보면 특허청 처분의 위법성을 다투는 것이어서
당사자 대립의 구조는 편의상의 것에 불과하므로 항고소송과 비슷하게
직권증거조사 등 심리에 있어서 민사소송과 다른 특수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항고소송으로 보아도 좋다고 생각되고 판례역시 이를 긍정하고 있다.
특허법 등에서 특허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는 사건으로
특별히 규정한 것만이 특허소송사건으로 되고 나머지 사건은 일반원칙에 따라 해결된다.
예컨대 소위 특허침해소송이라고 불리는 금지청구소송, 손해배상청구소송 및 신용회복조치청구소송등은
일반 민사소송사건이 되고,
서류불수리, 절차의 무효, 특허권의 수용, 통상실시권허락을 위한 재정에 관한 불복 등에 관하여는
특허법에 특별한 불복규정이 없으므로 일반 행정소송법의 절차에 의한 행정소송사건이 된다.
특허법 제190조 소정의 보상금 또는 대가에 관한 불복의 소는 그 성질에 따라
행정소송 혹은 민사소송이 된다.
특허소송에 대해서는 절차법인 특허소송법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선 특허법이 적용되고, 특허법에 규정이 없는 사항의 경우에는
특허소송이 기본적으로 행정소송적인 성질을 가지므로 행정소송법이 준용되고,
다시 행정소송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행정소송법 제8조에 따라 민사소송법이 준용될 것이다.
특허사무소 소담은
변리사와 변호사가 함께 있어
특허출원 특허등록은 물론
특허소송 및 법률상담까지 가능합니다.
'소담특허 > 특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업비밀 악의취득행위 (0) | 2018.06.01 |
---|---|
부정경쟁행위 금지청구권자 (0) | 2018.05.25 |
특허등록의 효력 궁금합니다 (0) | 2018.05.24 |
선사용에 의한 통상실시권 (0) | 2018.05.22 |
권리범위확인심판의 확인대상발명 (0) | 2018.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