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에는 불법행위 일반에 대하여 장래의 예방이나 배제를 위한 사전 금지청구권이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고, 판례는 인격권 침해행위(대법 1996. 4. 12. 선고 93다40614, 40621 판결 등 참조) 등

그 성질상 일단 침해된 후의 구제수단(금전배상이나 명예회복 처분)만으로

그 피해의 완전한 회복이 어렵고 손해전보의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불법행위 사안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전 예방적 구제수단으로

침해행위 정지·방지의 금지청구권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특허법원 2019. 8. 23. 선고 2018나2018 판결 [손해배상(지)] [각공2020상,1]

 

 

 

갑 주식회사는 허리 통증 등을 완화시켜주는 허리용 찜질패드를 개발하기로 한 후

을 주식회사와 상품 기획 개발에 있어 업무제휴에 관한 양해각서 및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하고,

을 회사로부터 허리용 찜질패드 제품(이하 ‘이 사건 제품’이라 한다)을 공급받아 판매하였는데,

을 회사가 명칭을 ‘휴대용 발열팩’으로 하여

이 사건 제품에 적용된 디자인을 등록출원하여 디자인등록이 되자,

갑 회사는 을 회사가 자신의 특허권을 침해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을 회사의 다른 제품의 판매가 예정된 방송의 중지를 요청하여 을 회사 제품의 홈쇼핑 방송이 무산되었습니다.

 

을 회사 역시 갑 회사의 거래처인 병 주식회사 등에 ‘을 회사가 갑 회사에

을 회사의 등록디자인이 적용된 이 사건 제품을 공급하기로 하는 계약이 해지되었으니

이 사건 제품을 판매할 경우 판매자도 을 회사의 디자인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취지의 통지를 하여

판매 및 납품 중단 등의 사태가 발생하자, 갑 회사가 을 회사를 상대로 위와 같은 통지가

불법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면서 손해배상을 구한 사안이었습니다.

 

제반 사정에 비추어 을 회사의 등록디자인은 갑 회사 측과

을 회사 측 정이 공동으로 창작하였다고 봄이 타당하므로,

정으로부터만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승계한 을 회사가

단독으로 디자인등록출원을 하여 등록된 디자인권에는 디자인보호법 제39조,

제121조 제1항 제2호에 따른 무효사유가 있고, 을 회사 측은 등록디자인을 정과 갑 회사 측이

공동으로 창작하였음을 알거나 알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단독으로 출원하여 디자인등록을 받았음을 인식한 것으로 보이므로

결국 디자인권에 무효사유가 존재함 역시 알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등록디자인권자라고 하더라도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누구에게나

어떠한 행위든 임의로 요구할 권리가 있다고 볼 수는 없으며, 디자인권 등의 침해 의심 제품의 경우

그 생산자 외에 그 생산자의 거래처 등에 대해서까지 침해 의심 제품의 판매·광고 등에 대한

경고 등을 할 때는 그로 인하여 생산자의 영업상 신용을 훼손할 우려가 크므로

생산자에 대하여 그러한 경고 등을 할 때보다 침해 여부 판단에

더욱 세심하고 고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을 회사는 갑 회사의 직원들과 정 사이에 을 회사의 등록디자인 관련 논쟁이 있은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갑 회사의 거래처 등에 ‘이 사건 제품을 판매하는 행위도

디자인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단정적인 취지의 통지를 하였기에

을 회사가 갑 회사의 거래처 등에 발송한 통지는 정당한 권리행사를 벗어나

고의 또는 과실로 위법하게 갑 회사의 영업활동을 방해한 것으로

민법 제750조의 불법행위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였습니다.

 

 

 

 

 

 

 

 

디자인권자라 하여도 디자인침해에 대해

섣불리 판단하여 정당한 권리행사를 벗어나는일은

없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디자인침해자라 하여도

억울하게 침해자로 몰리거나

손해배상범위를 벗어난

과도한 배상 행위를 지는일 역시 방지되어야 합니다.

 

그렇기에 지식재산권 변리사와 변호사가 함께 있는

특허사무소 소담에서

다양한 지식재산권 상담과 함께

중한 권리를 온전히아내세요

 

 

 

 

 

블로그 이미지

여인재 변리사

대기업출원소송 담당팀장 출신 변리사 변리사 출신 변호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특허법률사무소 소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