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3호를 이유로 하는 상표등록의 취소심판은 그 제6항에 따라
이해관계인에 한하여 청구할 수 있고, 여기서 이해관계인 이라 함은 취소되어야 할 등록상표의 존속으로 인하여
상표권자로부터 상표권의 대항을 받아 그 등록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사용할 수 없게 됨으로써
피해를 받을 염려가 있거나 법률상 자신의 지위에 영향을 받을 것이 객관적으로 명백하여
그 등록상표의 소멸에 직접적이고도 현실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을 말하고,
이해관계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심결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합니다
(대법 2006. 9. 14. 선고 2005후3291 판결 등 참조).
상표불사용에 대한 정당한 이유라 함은 질병 기타 천재 등의 불가항력에 의하여
영업을 할 수 없는 경우뿐만 아니라, 법률에 의한 규제, 판매 금지 또는 국가의 수입제한 조치 등에 의하여
부득이 등록상표의 지정상품이 국내에서 일반적·정상적으로 거래될 수 없는 경우와 같이
상표권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지 아니한 상표불사용의 경우도 포함됩니다.
특허법원 2017. 12. 8. 선고 2017허5641 판결 [등록취소(상)]
위 사례에선 원고가 수입대상국인 일본에서의 방사능 유출사고로 인해
더 이상 이 사건 등록상표의 지정상품 중 가공한 감태 등 제품을 공급받을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원고로서는 얼마든지 다른 국가 또는 공급원을 통해 관련 상품을 공급받음으로써
그 사업을 계속하면서이 사건 등록상표를 그 지정상품 중
가공한 감태 등에 사용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원고가 주장하는 일본에서의 방사능 유출사고와 같은 사정은
이 사건 등록상표의 불사용을 정당화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고 보기는 어렵고,
달리 원고가 이 사건 등록상표를 사용하지 아니한 데 대한
정당한 이유가 존재함을 인정할 만한 뚜렷한 자료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피고는 이 사건 등록상표에 대하여 상표불사용을 이유로 상표등록의 취소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이해관계인에 해당하고, 피고의 이 사건 심판청구가 심판청구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할 수 없으며,
원고는 이 사건 등록상표를 그 지정상품 중 가공한 감태 등에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아니한 데에
정당한 이유가 있었음을 증명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이 사건 등록상표의 지정상품 중 가공한 감태 등 부분은
구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3호, 제4호에 의하여 그 등록이 취소되어야 하기에
이와 결론을 같이한 이 사건 심결은 적법하고, 그 취소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다하여 기각되었습니다.
상표출원 및 등록 이후에도
사후 정당한 사용을 입증하여야 …
소중한 지식재산권에 대한 권리화를 통하여
나의 권리를 인정받았지만
정당하게 권리행사를 하지 않으면
불사용취소소송에 휘말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당한 사용을 진행해야 하며,
사용을 하지 못하였을 경우
그에따른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는데,
단순히 사용하기 어렵다거나, 변형해서 사용하였다 이런 사유들로는
정당한 사유로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특허사무소 소담
기업과 스타트업의 특허권, 디자인권, 상표권, 실용신안 빠르고 안전하게 등록
sodamip.com
따라서 전문가를 통하여 출원 및 등록진행후사후관리를 받는것도 중요하며
분쟁 소송에 휘말릴 경우
변리사와 변호사가 함께 있어 특허상담 및 법률자문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는
특허법률사무소 소담에서 소중한 권리를 온전히 담아내세요 !
☎ 070-4352-1133
지식재산권 상담문의
'소담특허 > 판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풍선 상표의 변형에 대한 식별력 판단 (0) | 2020.12.14 |
---|---|
디자인분쟁시 확인대상디자인이 자유실시디자인이라고 하려면? (0) | 2020.12.11 |
부정경쟁행위 빨리 대응해야 하는 이유 (0) | 2020.12.09 |
저작권법에서 말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0) | 2020.12.08 |
직무발명소송에 적용된 발명진흥법 (0) | 2020.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