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처분인 특허심판원의 심결에 대한 불복의 소송인 심결취소소송은 항고소송에 해당하여
그 소송물은 심결의 실체적·절차적 위법성 여부라 할 것이므로, 당사자는 심결이 판단하지 아니한 것이라도
그 심결을 위법 또는 적법하게 하는 사유를 심결취소소송절차에서 새로이 주장·증명할 수 있고
심결취소소송의 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제한 없이 이를 심리·판단하여 판결의 기초로 삼을 수 있습니다
(대법 2003. 10. 24. 선고 2002후1102 판결 등 참조).
특허법원 2019. 7. 11. 선고 2018허9428 판결 [거절결정(상)]
특허심판원에서는 이 사건 국제등록출원상표 중 지정상품이 모두 취소되어
심판의 대상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심판청구를 각하하는 취지로 이 사건 심결을 하였으나,
그 후 위와 같은 지정상품에 대한 전부취소는 주무관청인 세계지적재산권기구의 절차상 위법,
즉 출원인이 지정상품의 일부에 대해서만 포기한 것을 그 전체를 포기한 것으로 처리하여 전산입력하고
대한민국 특허청에도 그와 같은 취지로 통지한 것이 밝혀져 위 오류가 사후에 바로잡혔습니다.
따라서 실제로는 이 사건 심결 당시 이 사건 국제등록출원상표의 지정상품은 모두 취소되지 않아
일부 지정상품이 유효하게 존속함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심결은 그 지정상품이 모두 취소되었음을 전제로
심판대상물이 없다고 판단한 것이므로, 이 사건 심결은 세계지적재산권기구가 범한
위와 같은 절차상 위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사건 심결에도 절차상의 위법이 존재한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사건 심결에는 위와 같은 절차상 위법이 존재하므로,
피고가 주장하는 바와 같은 거절사유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 사건 심결은 취소되어야 할 것입니다.
설령 피고의 주장과 같이 이 사건 국제등록출원상표에는 선등록상표와 유사하다는
거절사유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위와 같은 절차상의 위법으로 심판청구를 각하한
이 사건 심결이 위 거절사유의 존재로 인해 다시 적법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위와 같은 거절사유에 관한 특허심판원의 선행 판단이 없는 상태에서 이 법원이 위 사유에 관하여 먼저 판단하는 것은
출원인으로 하여금 특허심판원의 독자적인 판단을 받을 기회를 실질적으로 박탈하는 셈이기도 하므로,
위 거절사유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판단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지재권출원,
더이상 국내한정이 아닙니다 !
글로벌 시대에 맞추어 특허를 포함한 지식재산권 역시
국내한정이 아닌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는데요,
기업에서도 PCT출원, 마드리드상표출원등
해외특허출원을 위한 움직임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특허사무소 소담에서는
대기업 출원 및 소송 담당 팀장 출신의 변리사와
변리사 출신 변호사가 함께
해외출원을 위한 길잡이도 제시하고 있으며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해드립니다.
특허사무소 소담 홈페이지에서
다양한 업무분야, 출원 및 등록 성공 업무사례 및온라인상담서비스를 만나보세요 !
특허사무소 소담
기업과 스타트업의 특허권, 디자인권, 상표권, 실용신안 빠르고 안전하게 등록
sodamip.com
☎ 070-4352-1133
지식재산권 상담문의
'소담특허 > 판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표권리이전, 양도계약 및 의사표시의 중요성 (0) | 2020.12.22 |
---|---|
수치한정 특허발명 진보성을 판단하는 기준 (0) | 2020.12.21 |
특허분쟁시 특허법리 해석의 어려움 (0) | 2020.12.17 |
디자인분쟁소송에서 말하는 새로운 거절이유 (0) | 2020.12.16 |
2차적 저작권침해 성립 요건 (0) | 2020.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