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권 효력, 넌 어디까지니?
안녕하세요 특허사무소 소담 입니다. 특허권 특허권 하는데 그 특허권의 효력은 어디까지인지
특허사무소 소담에서 한번 파헤쳐보겠습니다.
1. 시간적 범위
특허권의 존속기간은 특허권을 설정등록한 날부터 특허출원일 후 20년이 되는 날까지로 한다.
한편, 특허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다른 법령에 따라 허가를 받거나 등록 등을 하여야 하고
그 허가 또는 등록 등(이하 "허가 등"이라 한다)을 위하여 필요한
유효성.안전성 등의 시험으로 인하여 장기간이 소요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발명인 경우에는
그 실시할 수 없었던 기간에 대하여 5년의 기간까지 그 특허권의 존속기간을 한 차레만 연장하거나
특허출원에 대하여 특허출원일부터 4년과 출원심사 청구일부터 3년중 늦은 날보다 지연되어 특허권의 설정등록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지연된 기간만큼 해당 특허권의 존속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존속기간 내라도 특허권의 포기 또는 특허료의 불납 등으로 특허권이 소멸된 때에는
그때부터 특허권의 효력은 상실된다.
2. 내용적 범위
특허권 효력은 적극적 효력과 소극적 효력으로 구분된다.
- 적극적 효력
적극적 효력이란 독점성에 기인한 효력으로서 특허권자만이 특허발명을 업으로서 실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법 제94조에서는 "특허권자는 업으로서 특허발명을 실시할 권리를 독점한다"라고 하여
적극적 효력의 근거가 되고 있다.
- 소극적 효력
소극적 효력이란 배타성에 기인한 효력으로서 정당한 권원 없는 제3자가 특허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발명을 업으로서 실시하면 이를 침해라고 하여 배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타인의 실시가 침해가 되는 경우 특허권자는 침해자에 대하여 그 실시를 중지할 것을 청구할 수 있으며,
침해행위로 인하여 손해를 입은 경우에는 손해배상청구 등의 각종 민.형사상의
제재조치를 취할 수 있다. 특허법에서는 소극적 효력에 대해 직접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적극적 효력인 독점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독점성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해서 그 행위를 배제할 수 있는
배타성이 있어야 한다고 하여, 소극적 효력을 간접적
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소극적 효력을 독점성의 반대급부로서 간접적으로 규정된 것으로 이해하는 경우
특허권에 관해 전용실시권을 설정하였을 때 전용실시권자의 범위에서는 특허권자의 독점적실시가 유보되어 있어
제3자가 무단으로 실시하더라도 특허권의 침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특허권자에게는 침해에 대한 소권이
인정되지 아니한다고 해석되는데, 이는 현재 실무상 인정되고 있는 특허권자의 침해금지청구권 및
손해배상청구권 등에 관한 소권을 설명할 수 없고, 소극적효력이 적극적 효력에서 비롯되는데
소극적 효력의 범위가 적극적 효력의 범위와 상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3. 지역적 범위
특허권 효력은 속지주의 원칙에 따라 우리나라의 영토 내에만 미친다. 우리나라 내에 있는 자에 대해서는
내.외국인을 불문하고 특허권 효력이 미친다. 파리조약 제4조의2 역시
"동맹국의 국민이 각 동맹국에서 출원한 특허는 동맹국 또는 비동맹국에 관계없이 동일한 발명에 대하여
타국에서 취득한 특허로부터 독립한다"라고 규정하여 특허독립(속지주의)의 원칙을 천명하고 있다.
한편, 헌법상 한반도의 일부인 북한에도 특허권의 효력이 미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사실상 그 실효성은 의문시된다.
특허권 효력, 더 궁금하시다면
특허사무소 소담 으로 무료상담 문의전화 주시기 바랍니다
'소담특허 > 특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허침해 주장을 받고있어요 (0) | 2017.02.15 |
---|---|
거절결정불복심판 -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0) | 2017.02.09 |
특허권, 어떤 특성이 있나요? (0) | 2017.02.01 |
권리범위확인심판 이란 무엇인가요? (0) | 2017.01.31 |
특허요건 알아보자 (0) | 201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