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법 제75조에 규정되어 있는 권리범위확인심판은
등록상표의 권리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를 확인대상이 되는 상표와의 관계에서
구체적으로 확정하려는 제도일 뿐이고,
확인대상이 되는 상표가 상표권을 침해하였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상표권자 등에게 상표권침해 금지청구권이나 손해배상청구권 등의
권리가 인정되는지를 확정하는 절차가 아닙니다.
상표법에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과 같은 다른
산업재산권과 달리 상표등록을 받을 수 있는 권리의 승계인이
아닌 자 또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모인한 자가
상표출원을 하여 상표등록을 받은 경우에 그 상표권을
무효로 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상표법 제57조 제1항은 “상표권자는
그 상표권에 관하여 타인에게 통상사용권을 설정할 수 있다”,
제2항은 “ 제1항에 규정에 의한 통상사용권의 설정을 받은
통상사용권자는 그 설정행위로 정한 범위 안에서 지정상표에
관하여 등록상표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러한 통상사용권에 관한
상표법의 위 규정들은 상표권자의 허락에 의한 통상사용권은
상표권자가 기간, 지역, 사용내용 등에 관하여 설정행위로 정한
범위 안으로 한정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그 이상의 다른 사항을 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위와 같은 「상표권에 관한 권리범위 확인심판 제도의
성격과 상표법상 무권리자의 출원에 의한 상표등록을
무효로 하는 규정이 없는 점, 그리고 통상사용권에 관한
상표법의 규정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설령 이 사건 등록상표가
무권리자의 상표출원에 의하여 등록된 상표라고 하더라도
권리범위 확인심판에서 그 권리범위를 부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피고가 이 사건 등록상표에 대하여 통상사용권 등의
사용권한을 가지는지의 여부는 이 사건 등록상표권의
권리범위를 확인하는 데 아무런 관련이 없고(대법 1974. 8. 30. 선고
73후8 판결 참조),
이는 구체적인 상표 사용행위에 대한 상표권 침해소송에서
피고가 항변사항으로 주장하거나 그 침해소송과 별도의
확인소송에서 주장되어야 할 성질의 것입니다.
양 표장은 외관과 호칭에서 다른 점이 있지만,
호칭에서 일부 유사한 점이 있고 특히 관념에서 극히 유사하여,
양 표장을 객관적, 전체적, 이격적으로 관찰할 때,
상품의 출처에 관하여 일반 수요자가 오인·혼동하기 쉬우므로,
양 표장은 서로 유사하다고 보아
인대상표장은 이 사건 등록상표와 그 표장과 사용상품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 사건 등록상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판시한 사례가 있었는데요,
그 취소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는 이유 있어 인용되었습니다.
확인대상표장과 다른 표장이 부착된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고,
향후 확인대상표장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만으로는
피고가 장래 확인대상고안을 사용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단정할 수 없없기에,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확인대상표장이
이 사건 등록상표의 보호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권리범위 확인심판을 청구할 이익이 있다고
판시한 사례였습니다 (특허법원 2007허3882 판결 참조).
특허 디자인 상표 등
소중한 지식재산권을 온전히 담아내는
종합특허법률사무소 소담입니다.
'소담특허 > 판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허권 침해에 관하여 계속 중인 민사소송이 있는 경우 (0) | 2020.01.03 |
---|---|
특허 간접침해와 권리범위확인심판 (0) | 2019.12.26 |
상표등록취소심판청구에 있어서의 이해관계인 (0) | 2019.12.20 |
특허거절이유 통지에 우선권주장 불인정에 관한 이유가 포함되어 있었는지 판단하는 기준 (0) | 2019.12.12 |
상표등록 취소사유에서 통상사용권자의 의미 (0) | 2019.12.10 |